본문 바로가기

왜안알랴줌5

보건휴가 대신 연차를 써야만 하는 이유 보건휴가는 근로기준법 상 무급휴가입니다. 무급휴가는 '급여가 없는 휴가(Unpaid leave)' 라는 의미인데요. 무급휴가인 보건휴가를 사용하실 경우, 해당 휴가일에는 급여가 지급되지 않습니다. 휴가를 사용하는 날을 '근로'한 것과 다름없는 날로 보고, 일급여를 지급하는 연차와는 상반되는 개념입니다. 어차피 보건휴가가 무급이라면 왜때문에 법적으로 보건휴가를 준다 만다 하는 건가요? 라는 질문을 평소에 정말 많이 받는데요. 근로기준법 상 보건휴가의 지급 의무를 명시한 이유는, 일을 할 수 없을 만큼 힘들 수 있는 '그 날' 만큼은 근로자를 '무조건' 쉬게 할 수 있도록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급여의 지급유무 여부를 떠나서 필요할 때 반드시 쉴 수 있는 기본적인 '권리'를 보장하는 차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 2020. 3. 26.
사직서 제출 절대하면 안됩니다 퇴사할 때 사직서 제출이 필수사항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정답은 'NO' 입니다. 그리고 사직서 제출은 봉투에 넣어서 하는게 필수인가요? 잉? 무슨...88년도 시절이니..?ㅋㅋ 사직서는 근로계약서와 같이 교부의 의무가 있다거나 미제출 시 관련 법령 미준수로 귀책 사유를 물을 수 있는 위법한 사항이 아닙니다. 그럼 왜 우리의 인사팀에서는 쓰잘데기 없이 사직서 제출을 의무처럼 이야기 했던 거지? 라는 원초적 본능.. 아니 도발.. 말고... 원초적인 궁금증이 생기지 않으신가요? 사직서 제출은 의무는 아니지만, 몇 가지 이유로 반드시 제출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직서는 곧 합의서 사직서 제출 사유는 '이 지긋지긋한 회사 퇴사하겠습니다~' 라는 퇴사통보를 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사직서 제출의 가장 큰 본질은 .. 2020. 3. 24.
퇴직금 늘려주는 연차수당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라면 누구나 퇴사할 때 퇴직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인사팀에서는 직원이 퇴직 의사를 밝혀오면, 해당 직원의 퇴직금을 계산하고 이를 서면 또는 구두로 안내해드리는데요. 그런데! 어제 밤에 열심히 인터넷 퇴직금 계산기를 두드려서 나온 퇴직금보다 인사팀에서 알려준 퇴직금이 더 높게 산정되었다? 반대로 더 낮게 산정되었다? 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이 계십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요? 퇴직금은 근속(제외)일수, 평균임금 산입범위수당, 평균임금 산출기준기간, 퇴직금 정산방식(근무월, 만근월 기준) 등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노동법 외에도 회사별 내규와 운영 기준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계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터넷에 배포가 되어있는 퇴직금 계산기로는 본인의 퇴직금을 정확히 계산하.. 2020. 3. 15.
퇴사할 때 남은 연차, 사용하고 나가는게 유리할까? 연차수당으로 받는게 유리할까? 직원분들이 퇴사를 할 때 쯤이면 어김없이 휴대폰, 카카오톡, 사내 이메일, 유선전화 등 가능한 한 모든 통신수단으로 퇴사할 때 남은 연차 처리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하십니다. 그 질문의 쓰나미에 못이겨 매뉴얼을 만들 정도였으니까요. 퇴사할 때 남은 연차, 여태까지 다들 어떻게 정리하셨나요? 오늘은 퇴사 시점에 미사용연차가 어떻게 정산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특히, '근로자'의 입장에서 퇴사할 때 남은 연차를 어떻게 정산해야 '이득'일지 확실히 짚고 넘어가보겠습니다. ▶ 남은 연차(미사용연차)는 소멸되나? 사업주 연차정산 의무 우리가 퇴사 시 남은 연차 정산에 대한 유리한 방법을 논하기 전에, 퇴사할 때 남은 연차를 사업주(회사)가 정산해줘야 하는 의무가 있는지를 먼저 확인해봐야겠죠? 네, 의무가 있습.. 2020. 3. 8.